본문 바로가기

운영체제

OS 개발 - 4일차 (64비트 프로세서 OS 개발)

반응형

운영체제 개발 폴더 만들기

make 프로그램 만들기

make 프로그램이란?

  • 소스파일을 이용해서 자동으로 실행 파일 또는 라이브러리 파일을 만들어주는 빌드 관련 유틸리티입니다.
  • 소스 파일과 목적 파일을 비교한 뒤 마지막 빌드 후에 수정된 파일만 선택해서 빌드를 수행하므로 빌드 시간을 줄여준다.
  • 빌드를 편리하게 해주는 여러 가지 문법과 규칙을 지원해 많은 수의 소스 파일도 한 번에 빌드 할 수 있다.
  • 빌드를 자동으로 수행하려면 각 소스파일의 의존 관계나 빌드 순서, 빌드 옵션 등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 makefile

make 문법

  • make 문법의 기본 형식은 다음과 같이 Target, Dependency, Command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Target: Dependency
<tab> Command
<tab> Command
<tab> ...
  • Target : 생성할 파일을 나타낸다., 특정 레이블을 지정하여 해당 레이블과 관련된 부분만 빌드하는 것도 가능하다.
    • all (Target) : make를 실행하면서 옵션으로 Target을 직접 명시하지 않았을 때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Target이다.
  • Denpendency : Target 생성에 필요한 소스 파일이나 오브젝트 파일 등을 나타낸다.
  • Command : Dependency에 관련된 파일이 수정되면 실행할 명령을 의미한다.
    • 명령창이나 터미널에서 실행할 명령 또는 프로그램을 기술합니다.
  • make 파일 예제
#
all: output.exe

a.o: a.c
    gcc -c a.d
b.o: b.c
    gcc -c b.c
output.exe: a.o b.o
    gcc -o output.exe a.o b.o

 

 

 

반응형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 개발 - 3일차 (64비트 프로세서 OS 개발)  (1) 2024.01.28
OS 개발 - 1일차 (2)  (0) 2024.01.25
운영체제 개발 - 1일차  (0) 2024.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