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운영체제

(4)
OS 개발 - 4일차 (64비트 프로세서 OS 개발) make 프로그램 만들기 make 프로그램이란? 소스파일을 이용해서 자동으로 실행 파일 또는 라이브러리 파일을 만들어주는 빌드 관련 유틸리티입니다. 소스 파일과 목적 파일을 비교한 뒤 마지막 빌드 후에 수정된 파일만 선택해서 빌드를 수행하므로 빌드 시간을 줄여준다. 빌드를 편리하게 해주는 여러 가지 문법과 규칙을 지원해 많은 수의 소스 파일도 한 번에 빌드 할 수 있다. 빌드를 자동으로 수행하려면 각 소스파일의 의존 관계나 빌드 순서, 빌드 옵션 등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 makefile make 문법 make 문법의 기본 형식은 다음과 같이 Target, Dependency, Command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Target: Dependency Command Command ... Targ..
OS 개발 - 3일차 (64비트 프로세서 OS 개발) 오늘은 OS 개발을 위한 이론을 공부를 했다. 지식 정리 3장에서 다룰 내용 OS를 구동할 프로세서에 대한 지식 64비트 프로세서의 내부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고, 운영 모드별 메모리 관리 기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본다. 64비트 프로세서에는 크게 16비트, 32비트, 64비트 모드가 있으며, 각 모드에 따라 프로세서는 조금씩 다른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OS 개발하려면 각 모드와 모드의 차이점을 알아야 합니다. 이는 직접 프로세서를 제어하고 모드를 전환할 때 필요한 초기화를 수행해야 하기 떄문이다. 3.1 운영모드 주변에서 사용하는 인텔 64비트 호환 프로세서(x86-64 프로세서)에는 크게 다섯 가지 운영 모드가 있다. 16비트의 리얼 모드 32비트의 보호 모드 64비트의 IA-32e 모드와 조금 ..
OS 개발 - 1일차 (2) OS 개발 환경 구축하기 GCC 설치 (GNU Compiler Collection) 윈도우와 리눅스 등의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하며,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컴파일러 관련 프로그램의 집합이다. 32비트와 64비트 환경을 모두 지원하고 소스 파일이 공개되어 있으므로 목적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해도 된다. Cygwin (윈도우 환경에서 리눅스와 같은 환경을 제공해주는 프로그램) 다음 사이트에서 Cygwin을 설치한다. http://www.cygwin.com/install.html 설치 과정 고급 시스템 설정 변수 등록 64비트에서는 실행할 수 없어 -> 32비트 가상머신 설치하기.
운영체제 개발 - 1일차 OS에는 멀티태스킹 동적 메모리 관리 파일 시스템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응용프로그램을 위한 시스템 콜 외부와 시리얼 케이블로 통신하는 기능 GUI 시스템 OS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3가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다뤄 볼 수 있다. OS개발의 첫 단계는 플로피 디스크나 키보드 같은 주변장치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만드는 일이다.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바탕으로 OS의 핵심인 커널을 만든다. 새로운 기기가 추가된다면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개발하고, 이 드라이버를 바탕으로 커널에 관련 기능을 추가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펌웨어 개발자(하드웨어 관련 작업), 응용프로그램 개발자(응용프로그램 개발) 둘 다에게 좋은 경험이 된다. OS의 기능을 실제로 구현하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