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art 01 직류기
01 직류기의 원리와 구조
- 직류기의 구성요소
- 전기자의 구성요소
- 중권과 파권에서의 표
- 피자파이 x N / 60 * a
문제 | 답안 |
---|---|
직류기의 주요 구성 3요소는? | 전기자, 계자, 정류자 (자로 끝나는 모든 것) |
철심에 권선을 감고 전류를 흘려서 공극(Air gap)에 필요한 자속을 만드는 것? | 계자 |
직류 발전기의 전기자 구성 요소? | 전기자 권선, 전기자 철심 |
직류기에서 브러시의 역할? | 전기자 권선과 외부회로 접속 |
직류발전기에서 계자의 주된 역할? | 자속을 만든다. |
직류 발전기의 전기자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 | 중형 및 대형기에서는 가지형 (말고 쇄기형을 사용해야 함) 슬롯을 사용한다. |
직류기의 파권에서 극수에 관계없이 병렬 회로 수 a는 얼마인가? | 2이다. |
8극 파권 직류발전기의 전기자 권선의 병렬회로 수는? | 중권의 경우 극수와 같고, 파권의 경우는 무조건 2이다. |
다음 중권의 극수 P인 직류기에서 전기자 병렬 회로 수 a는 어떻게 되는가? | a = P, 병렬회로수는 중권에서 극수와 같다. |
직류기의 전기자 권선을 중권(Lap winding)로 하였을 때 다음 중 틀린 것은? | 중권에서 브러시의 수는 극수와 같다. |
다음의 정류곡선 중 브러시의 후단에서 불꽃이 발생하기 쉬운 것은? | 과전부후, 과정류는 전단, 부족정류는 후단. |
직류기에 있어서 불꽃 없는 정류를 얻는데 가장 유요한 방법은? | 전압 정류로서 보극을 설치하고, 저항 정류로서 탄소브러시를 설치한다. |
단산 직권 정류자 전동기의 설명으로 틀린것은? | 발전기 기전력을 크게 하기 위해 브러시 접촉저항을 크게해야한다! |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에서 기전력을 뜻하는 손가락은? | 중지 |
6극 직렬권 발전기의 전기자 도체 수 300, 매극 자속 0.02 Wb, 회전수 900rpm일 때 ,유도 기전력? | E = 피자파이 x N / (60 x a), 직렬권은 병렬회로의 개수가 극수와 같다. |
직류 발전기에서 유기기전력 E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 |
직류 분권발전기가 있다. 전기자 총 도체 수 440, 매 극의 자속 수 0.01Wb, 극수 6, 회전수 1500rpm일 때 유기기전력은 몇 V인가? (단, 전기자 권선은 중권이다) | 직류 분권 발전기, 전기자 권선이 중권, 병렬회로는 무조건 = 2 |
6극 직렬권(파권) 발전기의 전기자 도체 수 300, 매극 자속 수 0.02Wb, 회전수 900rpm 일때 유도 기전력은 몇 V인가? |
02 직류발전기의 특성
- 타여자기, 자여자기, 복권발전기?
- 무부하 특성 곡선?
- 복권 발전기의 회로도
- 내분권 복권 발전기의 회로도
- 외분권 복권 발발전기의 회로도
- 평복권기
- 과복권기
- 가동 복권 발전기
- 차동복권 발전기
- 직류 분권 발전기
- 직류 분권 발전기의 단자 전압 계산 공식 V - I(a)xR(a), 이 때 I(a) = 전기자의 전류, R(a) = 전기자의 저항
- 전기자 전류 = 부하 전류 + 계자 전류
- 직류 발전기의 전기자 반작용?
- 유도 기전력 저하
- 중성축의 이동
- 자속의 감소
- 직류 발전기의 전기자 반작용을 없애는 방법
- 보극 설치
- 보상권선 설치
- 브러시 위치를 전기적 중성점으로 이동
문제 | 답안 |
---|---|
계자 권선이 전기자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직류기는? | 타여자기 (타에 의해 돌아감?) |
직류 발전기에서 계자 철심에 잔류 자기가 없어도 발전을 할 수 있는 발전기는? | 타여자기 |
직류 발전기의 무부하 특성 곡선은? | 계자전류와 무부하 단자전압과의 관계이다. |
계자와 전기자가 직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면? | 복권발전기 |
부하의 변동에 대하여 단자 전압의 변화가 가장 작은 직류발전기는? | 평복권기 |
직류 발전기 중 무부하 전압과 전부하 전압이 같도록 설계된 직류발전기는? | 평복권 발전기 |
직류발전기에서 급전선의 전압강하 보상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 과복권기 |
직류복권 발전기를 복권 발전기로 사용하려면? | 직권계자를 단락시킨다. |
부하의 변화가 있어도 그 단자 전압의 변화가 작은 직류 발전기는? | 가동 복권 발전기 |
직류기에서 전압 변동률이 (-)값으로 표시되는 발전기는? | 과복권 발전기 |
부하의 저항을 어느 정도 감소시켜도 전류는 일정하게 되는 수하특성을 이용하여 정전류를 만드는 곳이나 아크용접 등에 사용되는 직류 발전기는? | 차동복권 발전기 |
아크 용접용 발전기로 가장 적당한 것은 | 차동복권기 |
직류 복권 발전기의 직권 계자 권선은 어디에 설치되어 있는가? | 분권 계자권선과 같은 철심에 설치 |
전압 변동률이 작고 자여자이므로 다른 전원이 필요없으며, 계자 저항기를 사용한 전압조정이 가능하므로 전기 화학용, 전지의 충전용 발전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 직류 분권 발전기 |
전기자 저항 0.1옴, 전기자 전류 104A, 유도기전력 110.4V인 직류 분권 발전기의 단자 전압 V는? | V = E - I(a) x R(a), |
계자 전류가 6A, 전기자 전류가 100A라면 부하 전류는 몇 A인가? | 부하 전류 + 계자 전류 = 전기자 전류이다. |
정격전압 250V, 정격 출력 50kW의 외분권 복권 발전기가 있다. 분권계자 저항이 25옴일 때 전기자 전류는? | 전기자 전류 = 부하 전류 + 계자 전류를 이용, 따라서 계자 전류는 V = IR 이므로 250 = I x 25 , 따라서 I = 10, 부하전류는 P = VI, 50000 / 250, 200, 210! |
직류 발전기 전기자 반작용의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발전기는 회전방향, 전동기는 회전 반대방향으로 자기적 중성축이 이동한다. |
직류 발전기의 전기자 반작용의 영향이 아닌것은? | 절연 내력과 전기자 반작용과는 관계가 없다,. |
다음 중 직류발전기의 전기자 반작용을 없애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균압환 설치? |
직류기에서 전기자 반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보상권선의 전류 방향은 어떻게 되는가? |
반응형
'자격증 > 전기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기능사의 모든 것 (Version2) (0) | 2024.04.01 |
---|---|
전기기능사 시험 대비 문제 풀이 (0) | 2024.04.01 |
개념 요약 정리 - 용어, 그림 (0) | 2024.04.01 |
개념 요약 정리 - 직류회로 (5) (0) | 2024.04.01 |
개념 요약 정리 - 직류회로 (4) (1) | 2024.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