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NIC, Network Interface Card)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는 컴퓨터와 컴퓨터 또는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이다.
- 정보 전송 시 정보가 케이블을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정보 형태를 변경한다.
- 이더넷 카드 혹은 네트워크 어댑터라고도 한다.
2. 허브 (Hub)
- 허브는 한 사무실이나 가까운 거리의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자잋로, 각각의 회선을 통합하여 관리한다.
- 허브는 신호 증폭 기능을 하는 리피터의 역할을 한다.
- 허브 종류
- 더미 허브 : 네트워크에 흐르는 모든 데이터를 단순히 연결하는 기능만 제공하는 허브
- 스위칭 허브 : 네트워크 상에 흐르는 데이터의 유무 및 흐름을 제어하여 각각의 노드가 허브의 최대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는 지능형 허브
3. 리피터
- 리피터는 거리가 증가할수록 감쇠하는 디지털 신호의 장거리 전송을 위해 수신한 신호를 재생시키거나 출력 전압을 높여 전송하는 장치이다.
- OSI 참조 모델의 물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이다.
- 전송 거리의 연장 또는 배선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4. 브리지
- 브리지는 LAN과 LAN을 연결하거나 LAN 안에서의 컴퓨터 그룹을 연결하는 장치이다.
- 네트워크의 수많은 단말기들에 의해 발생되는 트래픽 병목 현상을 줄일 수 있다.
- 네트우커ㅡ를 분산적으로 구성할 수 있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 브리지를 이용한 서브넷 구성 시 전송 가능한 ㅅ회선 수는 브리지가 n개일 때, n(n-1) / 2개이다.
5. 스위치
- 스위치는 브리지와 같이 LAN과 LAN을 연결하여 훨씬 더 큰 LAN을 만드는 장치이다.
-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처리하므로 전송 속도가 빠르다.
- 로트마다 서로 다른 전송 속도를 지원하게 제어할 수 있다.
- 수십에서 수백 개의 포트를 제공하낟.
- OSI 참조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된다.
6. 라우터
- 라우터는 브리지와 같이 LAN과 LAN의 연결 기능에 데이터 전송의 최적 경로를 선택하는 기능이 추가된 장치이다.
- 서로 다른 LAN 또는 LAN과 WAN을 연결하는 기능도 한다.
- OSI 참조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이다.
- 3계층, 즉 네트워크 계층까지의 프로토콜 구조가 다른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위해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7. 게이트웨이
- 게이트웨이 OSI 전 계층의 프로토콜 구조가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이다.
- LAN에서 다른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보내거나 다른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출입구 역할을 한다.
- 세션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 간을 연결하여 데이터 형식 변환, 주소 변환, 프로토콜 벼환 등을 수행한다.
반응형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기) Section 155. 회복 / 병행제어 (0) | 2024.04.22 |
---|---|
(실기) Section 154. DB 관련 신기술 (0) | 2024.04.21 |
(실기) Section 144. OSI 참조 모델 (1) | 2024.04.21 |
(실기) Section 143. 인터넷 (0) | 2024.04.21 |
(실기) Section 142. 운영체제 기본 명령어 (0) | 2024.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