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자격증 공부

(실기) Section 056. 통합 구현

반응형

1. 통합 구현

  • 통합 구현은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맞춰 송, 수신 모듈과 중계 모듈 간의 연계를 구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 통합 구현은 송, 수신 방식이나 시스템 아키텍처 구성, 송, 수신 모듈 구현 방법등에 따라 다르므로, 사용자의 요구사항과 구축 환경에 적합한 방식을 설계해야 한다.
  • 일반적인 통합 구현은 송, 수신 시스템과 모듈, 중계 시스템, 연계 데이터, 네트워크로 구성된다.

2. 통합 구현의 구성 요소

송신 시스템과 모듈

  • 송신 시스템 : 데이터를 생성 및 변환하여 전송하는 시스템으로, 송신 모듈과 모니터링 기능으로 구성됨
  • 송신 모듈 : 전송 데이터를 생성하고, 필요에 따라 전송 데이터의 변환 등을 수행함.

수신 시스템과 모듈

  • 수신 시스템 : 수신 받은 데이터를 정제 및 변환하는 시스템으로, 수신 모듈과 모니터링 기능으로 구성됨.
  • 수신 모듈 : 수신 데이터를 정제하고 애플리케이션이나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작업 등을 수행함.

중계 시스템

  • 내, 외부 시스템 간 또는 내부 시스템 간의 연계 시 사용되는 아키텍처이다.

연계 데이터

  • 송, 수신 시스템 간 송, 수신되는 데이터

네트워크

  • 송신 시스템, 수신 시스템, 중계 시스템을 연결해주는 통신망

3. 연계 요구사항 분석

  • 연계 요구사항 분석은 통합 구현을 위해 사용자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연계 데이터를 식별 및 표준화하여 연계 데이터를 정의하는 것이다.
  • 연계 요구사항 분석 절차
    1.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 네트워크 현황 확인
    2. 테이블 정의서, 코드 정의서 등의 문서확인
    3. 체크리스트 작성 ( 시스템 운영 환경, 성능, 보안, 데이터 발생 유형 및 주기 등 다양한 관점에서 고려사항을 정리)
    4. 관련 문서 공유 및 인터뷰 설문 조사 실시
    5.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

4. 연계 데이터 식별 및 표준화의 절차

연계 범위 및 항목 정의 : 시스템 간 연계할 정보를 상세화하여 정의
연계 코드 변환 및 매핑 : 연계 정보 중 코드로 관리되어야 할 항목을 찾아 코드로 변환
연계 데이터 식별자와 변경 구분 추가 : 연계 정보에 데이터 구분 식별자, 작업 구분 정보, 테이블/파일 관리 정보 등을 추가
연계 데이터 표현 방법 정의 : 연계 대상 범위, 대상 항목, 코드 변환 방식, 매핑 방식을 정의한 후 연계 데이터 구성
연계 정의서 및 명세서 작성 : 이전 과정에서 정의된 다양한 항목들과 파악된 현황들을 문서화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