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자격증 공부

(실기) Section 058. 연계 장애 및 오류처리 구현

반응형

1. 연계 메커니즘 구간별 장애 및 오류 모니터링 현황

  • 연계 메커니즘에서 오류 발생 시점, 오류 로그 기록 장소, 오류 로그 기록 주체는 크게 송, 수신 시스템, 연계 서버 구간으로 구분된다.

  • 구간 별 주요 오류 발생 시점

송신 시스템 구간

  • 데이터 생성 및 추출 시
  • 코드 매핑 및 데이터 변환 시
  • 인터페이스 테이블 또는 파일 등록 시

수신 시스템 구간

  • 연계 데이터 로드시
  • 코드 매핑 및 데이터 변환 시
  • 운영 DB에 반영 시

연계 서버 구간

  • 연계 데이터 로드 및 전송 형식으로 변환 시
  • 연계 데이터 송, 수신 시
  • 수신 시스템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 및 로드 시

2. 장애 및 오류 유형과 처리방안

  • 장애 및 오류 유형의 분류
    • 송, 수신 시스템의 연계 프로그램 오류
    • 연계 서버의 오류
    • 연계 데이터의 오류
  • 송, 수신 시스템의 연계 프로그램과 연계 서버에서 기록하는 로그를 통해 장애 및 오류 원인을 확인하고 분석하여 적절한 처리방안을 선택한다.

3. 장애 및 오류의 확인과 처리 절차

  • 1차적으로 연계 서버에서 제공하는 장애 및 올류 현황 모니터링 화면을 통해 오류 원인 및 발생 현황을 확인한다.
  • 1차에서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 송, 수신 시스템의 연계 프로그램과 연계 서버에서 기록한 오류 로그 테이블 또는 파일을 확인하여 오류 원인을 분석한다.
  • 발생한 오류에 대한 원인이 확인되면 원인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4. 장애 및 오류의 정의와 설계

장애 및 오류 현화의 기록과 확인을 위해서는 다음 항목들을 정의하고 설계해야 한다.

장애 및 오류 관리 대상

  • 송, 수신 시스템의 연계 프로그램에서 관리하는 장애 및 오류를 관리 대상으로 정의함.

관리 대상의 장애 및 오류 코드와 메시지

  • 관리 대상에서 식별한 오류 내용을 주제별로 분류한 후 각 오류 내용에 오류 코드를 부여하고 오류 메시지를 정의함.

장애 및 오류 코드와 메시지 관리 방식

  • 관리 대상 오류 코드와 오류 메시지가 많은 경우에는 테이블 관리 방식을, 적은 경우에는 파일 관리 방식을 선택함.

장애 및 오류 기록 방식

  • 오류 로그 테이블이나 파일은 기록 다누이에 따라 인터페이스 테이블이나 파일에 대한 로그, 연계 데이터에 대한 로그로 설계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