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1. 다음은 패키징에 필요한 작업들이다. 작성 순서에 맞게 (ㄱ~ㅂ)로 나열하시오.
ㄱ. 기능 식별
ㄴ. 빌드 진행
ㄷ. 패키징 및 적용 시험
ㄹ. 사용자 환경 분석
ㅁ. 모듈화
ㅂ. 패키징 변경 개선
- 답
ㄱ -> ㅁ -> ㄴ-> ㄹ -> ㄷ-> ㅂ
문제 2. 소프트웨어 패키징의 개념을 간략히 서술하시오.
- 답
소프트웨어 패키징이란 모듈별로 생성한 실행파일을 묶어 배포용 설치파일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문제1. 릴리즈 노트는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정리된 릴리즈 정보를 최종 사용자인 고객과 공유하기 위한 문서이다. 릴리즈 노트는 정확하고 완전한 정보를 기반으로 개발팀에서 직접 현재 시제로 작성해야 한다. 릴리즈 노트 작성 시 릴리즈 노트 이름, 소프트웨어 이름, 릴리즈 버전, 릴리즈 날짜, 릴리즈 노트 날짜, 릴리즈 노트 버전 등이 포함된 항목을 쓰시오.
- 답
Header (머릿말)
문제2. 다음의 설명과 가장 부합하는 용어를 쓰시오.
개발 과정에서 소프트웨어가 얼마나 개선되었는지를 정리한 정보를 사용자와 공유하기 위해 작성하는 문서로, 이를 통해 사용자는 소프트웨어에 포함된 서비스나 사용환경을 확인할 수 있다.
- 답
릴리즈 노트
문제3. 다음은 릴리즈 노트 작성에 관련된 내용들이다. 작성 순서에 맞게 기호(ㄱ~ㅂ)로 나열하시오.
ㄱ. 릴리즈 정보 확인
ㄴ. 정식 릴리즈 노트 작성
ㄷ. 모듈 식별
ㄹ. 영향도 체크
ㅁ. 추가 개선 항목 식별
ㅂ. 릴리즈 노트 개요 작성
- 답
ㄷ -> ㄱ -> ㅂ -> ㄹ -> ㄴ -> ㅁ
문제1. 다음은 저작권 관리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이다. 괄호 (1~4)에 들어갈 적합한 요소를 쓰시오.
(1) - 저작권에 대한 사용 권한, 라이선스 발급, 암호화된 키 관리, 사용량에 따른 결제 관리 등을 수행하는 곳이다.
(2) - 콘텐츠를 제공하는 저작권자이다.
(3) - 콘텐츠를 메타 데이터와 함께 배포 가능한 형태로 묶어 암호화하는 프로그램이다.
(4) - 암호화된 콘텐츠를유통하는 곳이나 사람이다.
콘텐츠 소비자 - 콘텐츠를 구매해서 사용하는 주체이다.
(5) - 배포된 콘텐츠의 이용 권한을 통제하는 프로그램이다.
보안 컨테이너 - 콘텐츠 원본을 안전하게 유통하기 위한 전자적 보안 장치이다.
- 답
(1) - 클리어링 하우스
(2) - 콘텐츠 제공자
(3) - 패키저
(4) - 콘텐츠 분배자
(5) - DRM 컨트롤러
문제2. 다음 보기에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를 위해 사용되는 기술을 모두 골라 기호 (ㄱ~ㅅ)로 쓰시오.
ㄱ. 크랙 방지 기술
ㄴ. 정책 관리 기술
ㄷ. 암호화 기술
ㄹ. 방화벽 기술
ㅁ. 키 관리 기술
ㅂ. 식별 기술
ㅅ. 오류 감지 및 복구 기술
- 답
ㄱ, ㄴ, ㄷ, ㅁ, ㅂ
문제3. 다음은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 대한 설명이다. 괄호 (1, 2)에 들어갈 가장 적합한 용어를 쓰시오.
디지털 저작권 관리는 저작권자가 배포한 디지털 콘텐츠가 저작권자가 의도한 용도로만 사용되도록 디지털 콘텐츠의 생성, 유통, 이용까지의 전 과정에 걸쳐 사용되는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및 보호 기술이다. 원본 콘텐츠가 아날로그인 경우에는 디지털로 변환한 후 ( 1 )에 의해 DRM 패키징을 수행한다. 콘텐츠의 크기에 따라 음원이나 문서와 같이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요청하는 시점에서 실시간으로 패키징을 수행하고, 크기가 큰 경우에는 미리 패키징을 수행한 후 배포한다. 패키징된 콘텐츠에는 암호화된 저작권자의 전자서명이 포함되고 저작권자가 설정한 라이선스 정보가 ( 2 ) 에 등록된다.
- 답
(1) - 패키저
(2) - 클리어링 하우스
문제 4. 디지털 콘텐트와 디바이스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해 하드웨어 제조업자, 저작권자, 출판업자 등이 사용할 수 있는 접근 제어 기술을 의미하는 용어를 쓰시오.
- 답
디지털 저작권 권리, DRM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기) Section 160. 소프트웨어 설치 메뉴얼 작성 (0) | 2024.04.22 |
---|---|
(실기) Section 158 릴리즈 노트 작성 (0) | 2024.04.22 |
(실기) Section 155. 회복 / 병행제어 (0) | 2024.04.22 |
(실기) Section 154. DB 관련 신기술 (0) | 2024.04.21 |
(실기) Section 145. 네트워크 관련 장비 (0) | 2024.04.21 |